1. 등록요건
  2. 업무처리절차
  3. 특허/실용실안 상담

특허침해자의 손해배상책임 대폭 강화

특허 침해, 이제 어림없다!
- 증거제출 강화로 손해배상액 높아져 -


□ 앞으로 특허를 침해하면 큰돈을 물어줘야 할 것으로 보인다.   특허청(청장 최동규)은 “특허 침해 및 손해액 입증을 용이하게 하는 특허법 개정안이 지난 3월22일 국무회의를 통과하여 3월29일에 공포될 예정임에 따라 특허침해자의 손해배상 책임이 대폭 강화될 것” 이라고 밝혔다. 개정법은 공포후 3개월이 지난 6월30일부터 시행된다.


□ 이번에 개정된 특허법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.


  o 첫째, 침해 및 손해액 입증에 반드시 필요한 증거라면 당사자의  영업비밀에 해당하는 자료라도 열람제한을 조건으로 제출을 강제할 수 있게 되었다. 특허침해 소송에서는 침해자의 생산 매뉴얼,   매출장부 등 기업의 영업비밀에 해당하는 자료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. 그 동안은 기업이 영업비밀이라고 주장할 경우 제출을 강제하기 어려웠으나, 이번 개정법에서는 판사, 변호인 등으로 열람자를  제한할 수 있고 관련 자료제출을 강제할 수 있도록 하였다. 


  o 둘째, 침해자가 자료 제출명령에 불응하면 재판부는 특허권자가 주장하는 사실을 그대로 인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. 예를 들면 침해자가 매출이익이 기재된 장부제출명령에 불응할 경우 특허권자가 주장하는 침해자의 매출이익액을 그대로 인정해서 손해배상을 인정할 수 있게 된다. 


  o 셋째, 손해액 산정 관련하여 법원이 감정을 명한 경우, 관련 자료 제출 당사자는 감정인에게 자료의 내용에 대하여 설명해야 하는 의무가 신설되었다. 증거자료를 제출한다 하더라도 그 자료의 내용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작성자의 설명이 필요하다. 특히 복잡한 회계  장부의 경우에는 작성자만의 표기나 암호가 있어 더욱 그러하다. 
 
  o 넷째, 디지털 자료도 자료제출 명령의 범위에 속하도록 명문화하였다.  


□ 그동안 특허침해 입증이 어렵고 손해배상액이 낮아 중소기업이 기술탈취를 당해도 실질적인 보상이 어렵다는 지적이 있어 왔다. 또한, 낮은 보상액은 특허를 담보로 한 기술금융이 활성화되지  못하는 요인이기도 했으며, 기업들이 기술거래보다는 기술탈취를 시도하게 되는 유인으로 작용해왔다. 늦은 감이 있지만 이번 법 개정을 계기로 지식재산 생태계의 선순환 구조가 정착되고 벤처 창업과  창조경제가 더욱 활성화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. 
     * 특허침해소송 손해배상액 중앙값 : 한국 5천9백만원(‘09∼’13년), 미국 49억원(‘07∼’12년) 


□ 특허청 박성준 산업재산보호협력국장은 “법 개정보다 법 적용이 더 중요하므로 법원에서 개정법의 취지를 살려 적극적으로 적용해주기를 바라며, 아울러 지난 3년여 동안 법개정을 위해 애써주신 국회 세계특허(IP)허브국가위원회와 학계, 업계, 법조계 등 각계 전문가분들의 노고에 감사드린다 ”고 밝혔다. 


문의 : 산업재산보호협력국 산업재산보호정책과 서기관 정재훈(042-481-5179)